25#2 [250305] '전기차 캐즘'에 중국 공습까지 '위기의 K-배터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0514070424005
'전기차 캐즘'에 중국 공습까지 '위기의 K-배터리'…돌파할 묘수는 - 머니투데이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선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중국의 저가 공세,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으로 위기를 맞은 국내 주요 배터리사들의 '돌파 전략'을 확인할 수
news.mt.co.kr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선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중국의 저가 공세,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으로 위기를 맞은 국내 주요 배터리사들의 '돌파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차세대 배터리와 향후 사업전략을 소개하며 위기 극복 의지를 드러냈다.
전기차 시장의 변화와 배터리 기술 혁신
1.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캐즘(Chasm) 현상
전기차(EV)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최근 일부 지역에서 성장 속도가 둔화되는 '캐즘(Chasm)'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이 초기 수요층을 넘어 대중 시장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배터리 원가 상승과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이 주춤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각국의 배터리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을 높이면서도 성능과 안전성을 강화하는 배터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 한국에서도 주목받는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
배터리 시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에서도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던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LFP 배터리는 양극재로 리튬 인산철을 사용해 가격이 저렴하고, 화재 위험이 낮아 안정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과거 한국 배터리 제조사들은 주로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 집중했지만,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과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비용 절감 필요성이 커지면서 LFP 배터리 개발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기아 등 국내 자동차 제조사들도 LFP 배터리를 적용한 모델을 고려 중이며, 이는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될 전망입니다.
3.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동향
전기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주요 기업들이 연구 중인 차세대 배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고체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에너지 밀도를 개선한 배터리입니다. 삼성SDI는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 다수의 고객사와 진행한 샘플 테스트 상황을 공개하면서 연구의 진척도를 알렸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역시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리튬황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무게가 가벼운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황 배터리를 개발 중이며, 고고도 무인기(UAV) 및 도심항공교통(UAM)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3) 나트륨이온 배터리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리튬 대신 나트륨을 사용하는 배터리로, 원자재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중국산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나트륨이온 배터리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파일럿 생산에 돌입한 상태입니다.
4. 전기차를 공부하려면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필수
전기차의 핵심 부품은 배터리이며,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은 차량의 주행 거리, 충전 속도, 유지 비용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전기차를 공부하거나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배터리 기술 동향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차세대 배터리로의 전환이 진행 중인 만큼, 앞으로 배터리 기술이 전기차 산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배터리 연구개발은 단순히 전기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차 시장이 더욱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요인이 될 것입니다.
5. 결론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배터리 기술 혁신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LFP 배터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고체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나트륨이온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전기차를 공부하거나 산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배터리 기술 동향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며, 향후 전기차 시장의 방향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